[위클리오늘=염지은 기자]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 압박이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개정 요구에 이어 개별 품목에 대한 무역장벽 추진까지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다.

미 대통령 직속 국제무역위원회는 5일(현지시간) 미국 가전업체 월풀이 삼성과 LG 전자를 상대로 낸 세이프가드 청원에 대해 위원 4명 만장일치로 "이유 있다"고 판정했다.

삼성과 LG전자의 대형 가정용 세탁기의 덤핑(헐값판매)이 급증하면서 미국 산업에 심각한 피해를 끼치고 있다는 것이다.

월풀의 세이프가드 청원 대상은 삼성과 LG가 중국과 베트남, 멕시코 등 제3국에서 생산한 세탁기들로 지난해 수출액은 10억6000억 달러,  1조2000억 원 규모다.

시장조사업체 트랙라인에 따르면 미국 세탁기 시장 점유율은 금액 기준으로 삼성전자 18.7%, 월풀 18.5%, LG전자 16.5% 순이다.

세이프가드는 특정 품목의 수입이 급증할 경우 수입량을 제한하거나 관세를 인상하는 무역장벽의 하나다.

긴급수입제한 조치가 취해질 경우 연간 1조 원 이상의 대미 세탁기 수출이 타격을 입을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미국 국제무역위는 오는 19일 공청회를 개최한 뒤 12월 4일까지 구체적인 구제조치 방법과 수위를 담은 권고안을 대통령에게 제출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60일 이내 최종 결정을 내려야 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제조업 부활과 보호무역 기조를 지속적으로 밝혀온 만큼 관세부과나 인상, 수입량 제한, 저율관세할당 같은 구제조치가 취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삼성과 LG는 피해는 결국 미국의 소비자가 입게 될 것이라며 세이프가드 부당성에 대해 적극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삼성전자는 6일 미국 법인 자체 뉴스룸에 "삼성전자 세탁기에 대한 수입 제한은 (소비자) 선택을 제한하고 가격 상승, 혁신 제품 공급 제한 등으로 이어져 결국 미국 소비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며 "세이프가드 구제조치는 미국 노동자들을 지역별로 차별해서는 안 되며 소비자를 위한 가전 시장의 공정성도 해쳐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또 "사우스캐롤라이나에 북미 가전 공장을 건설해 가장 혁신적인 세탁기를 공급하겠다는 계획은 변함없이 지속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제무역위는 앞서 지난달에도 한국과 중국, 멕시코에서 수입된 태양광 패널이 미국 업계에 피해를 초래했다고 판정했다.

월풀은 지난해에는 중국산 세탁기에 대해 덤핑 제소를 하기도 했다. 당시 중국에서 생산되던 삼성전자와 LG전자 세탁기도 반덤핑 관세 판정을 받았지만 삼성과 LG는 생산 거점을 베트남, 태국 등으로 옮기며 피해를 최소화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