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조수 지정 후 비둘기 개체수는 되레 더 늘어

[위클리오늘=이지현 청년기자] 평화의 상징인 비둘기가 사람에게 해롭고 처치곤란한 동물로 낙인 찍혔다. 2009년 환경부는 비둘기에 대한 민원 급증과 개체 수 증가를 이유로 비둘기를 유해조수로 지정했다.

천적 소멸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비둘기 개체수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경우 1988년 올림픽 때 정부 차원에서 비둘기를 다량 수입하면서 그 수가 급격히 늘었다.

문제는 유해조수 지정만으로는 문제해결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유해조수 지정 후 마땅한 해결책이나 대책이 없어 비둘기의 개체수는 되레 늘어났다.

관련 통계조차 제대로 없는 실정이다. 비둘기 개체 수 조사가 시행되고 있는 곳은 전국적으로 서울시 한곳 뿐이다.

서울시내 비둘기는 2009년 3만 5천여 마리에서  2015년도에는 4만 5천마리로 6년 사이 1만여 마리가 급증했다.  

서울시는 2015년 청계천 교각 비둘기 퇴치 사업에 4천만 원을 투자했다. 하지만 단순히 퇴치 그물망, 퇴치용 스프레이 등에 그쳐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에서는 불임약이 섞인 먹이를 배급하고 벨기에 브뤼셀은 포획해 불임시술을 한다.

프랑스와 스위스는 알을 부화 불능으로 만들거나 가짜 알로 바꿔 치기한다.

LA의 경우 불임약 배급 방법으로 개체수를 50% 까지 감소시켰다.

윤무부 경희대 전 명예교수에 따르면 도시의 급격한 팽창과 함께 비둘기가 살만한 지역이 줄어 들었면서 삶터를 잃은 비둘기들이 도심으로 날아들기 시작했다. 

윤 전 교수는 "비둘기가 비가 고인 더러운 물, 사람의 토사물 같은 변변찮은 먹이를 먹으니 몸에서 먼지가 심하게 날리고 덩치만 뚱뚱해진다. 또 원래 새들은 스스로 깨끗이 해서 하루에 4번 이상 목욕을 한다. 도시에서는 마땅히 목욕할 곳도 없다"고 설명했다.

유해조수 지정에 관해서는 윤 전 교수는 "어디까지나 다른 생명과 공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찾아야한다. 다른 방법을 써 보지 않고 무조건 죽이자는 건 문제의 해결 방법이 될 수 없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비둘기는 한번에 2개의 알을 낳는다. 하나를 회수한다면 수가 줄을 것이다" 고 대처방안도 제시했다.

박소연 동물사랑실천협회 대표는 "비둘기가 도심의 한 동물, 생태계로 자리 잡은 지 이미 오래된 일이기 때문에 무차별적인 퇴치 작업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며 "비둘기의 귀소본능을 이용해 서식할 수 있는 장소를 따로 마련해주는 것이 인간과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